# 부동산 사이클의 기본 이해
:: 하락기 후반 - 상승기 초반 - 상승기 중반 - 상승기 후반 - 하락기 초반 - 하락기 중반 - 하락기 후반
가장 확실한 투자는 상승 흐름에 투자하는 것이며, 그 중 상승 흐름 초반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1. 상승 흐름 초반: 매매가 상승 & 전세가 상승
- 과거의 오랜 침체기인 하락히 후반 이후에 찾아옴
> 이 시기에 수요자들은 매매를 꺼리고 전세 거주를 택함
> 이에 매매 수요가 적어서 매매가는 떨어지고, 전세가는 상승하는 시기!
- 상승흐름 초반을 만들어내는 본질: 공급 부족
> 오랜 하락 기간 동안 건설사의 분양이 멈췄고, 이후 시간이 흐르며 시장에 공급 물량이 부족해진 탓
-상승기 초반에서는 전세가 상승으로 매매 실거주 대비 전세 비용 차이가 줄어들수록 전세 수요가 매매 수요로 넘어가게 된다. 이렇게 매매 수요가 점차 늘어나며 매매가 또한 천천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임.
2. 상승 흐름 중반 : 매매가 상승 & 전세가 상승 & 전세가율 하락
- 투자자가 붙기 시작하는 시점
- 매수 수요 (실거주 + 투자자)가 늘어나기 시작
> "내가 살고 있는 동네가 가격이 계속 오르면 한 채 더 사고 싶지 않겠습니까?"
1) 매수 수요 증가가 원인 -> 실거주 + 투자자 증가
2) 매매 시에 대출을 이용하거나 갭투자를 활용한 레버리지 투자도 가능하므로 실수요만 있는 전세가보다 더 급하게 가격이 상승함
3. 상승 흐름 후반
- 전세가 하락의 특징을 보임
> 분양 아파트들이 공급을 시작했기 때문
- 공급 물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시장에서 이를 소화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처음 나타나는 현상
4. 하락 흐름 초반
- 공급이 누적되며 시장에서 소화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결국 매매가격 하락으로 이어짐
- 매매가격 하락이 보이지만 아파트 공급은 지속되면서 미분양이 점점 늘어난다는 특징을 지님
공급 증가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 3가지 1) 미분양 물량 증가 2) 청약 경쟁률 하락 3) 미분양 발생 이후 적정 수준의 공급 지속 |
5. 하락 흐름 중반: 매매가 하락 & 전세가격 하락 & 전세가율 상승
- 사람들은 아파트 매수를 두려워 함
- 이 시기에 매수 심리는 완전히 죽어버리고 대부분의 사람은 전세 거주를 선택
6. 하락 흐름 후반
- 부동산은 하락한다는 심리가 지배적이며, 실거주를 제외하고는 거래가 없는 상태
'경제 상식 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상식] 채권이란? / 채권의 장단점 / 채권의 특징 / 채권 투자 방법 (1) | 2024.01.30 |
---|---|
[경제지식] 평범한 우리들이 원자재 시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0) | 2024.01.26 |
인플레이션 :: 인플레이션은 어떻게 경기를 추락시키나? (0) | 2024.01.25 |
[경제상식] 경기침체 :: 잘나가던 경기가 꺾이는 이유 (0) | 2024.01.22 |
[금융지능] 금융경제와 실물경제 /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0) | 2024.01.20 |